Go to main contents Go to main menus

연구자원 인프라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코호트

사업목적

HPV 감염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통해, HPV 감염으로부터 상피내종양 및 자궁경부암으로 이행되는 과정을 전향적으로 관찰함으로써 다단계 암화과정에 관여하는 역학ㆍ바이러스학ㆍ환경적 위험인자 및 유전적 다형성과의 관련성을 밝히고, 이를 통해 일차 예방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함

추진 배경 및 현황

사업 배경

  •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 여성 암의 15%를 차지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 3번째로 21.1%의 높은 유병률을 보이며 매년 4,949명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고 1,327명이 사망하는 공중보건학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질환임
  • 전 세계적으로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HPV 의 감염률은 11.4%에 이르며, HPV 감염은 대부분 별다른 치료 없이 치유되지만, 약 10% 정도에서는 지속감염의 형태로 존재하고, 이는 수년 후 상피내종양이나 자궁경부암으로 이행될 수 있는 강력한 예측 인자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 국내 HPV 감염자를 대상으로 지속감염에 관여하고 지속감염으로부터 상피내 종양으로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역학적 요인 및 바이러스적, 숙주적 인자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임
  •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한국에서 유행하는 HPV 유전형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지속감염 및 소실, 상피내종양으로의 이행에 관여하는 위험인자 및 예후 인자 규명을 위하여 역학적, 면역학적, 분자생물학적 접근을 위한 전향적 국내 HPV 코호트 구축과 운영의 필요성이 증대됨

코호트 내용

모집대상

  • 만 20세 이상 만 60세 이하 여성을 대상으로 한다.
  • HPV type에 관계없이 DNA 검사상 양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다.
  • 자궁경부세포검사상 비정형 상피세포 (ASCUS) 이거나 저 등급병변(LSIL)로 판독된 여성

제외기준

  • 자궁적출술을 받은 여성
  • 코호트에 참여하기 6개월 전 원추절제술을 받은 적이 있는 여성
  • 코호트 참가 시 임신한 여성 단, 추적관찰 중 임신이 된 경우는 예외
  • 코호트에 참여하기전 자궁경부암을 포함하여 다른 부위에 암으로 진단된 적이 있는 여성
  • 정신과 병력이 있고 현재 치료중인 여성

참여기관

단국대학교 제일병원,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계명대 동산의료원, 부산인제백병원, 강남 차병원, 고려대 구로병원, 국립암센터

조사내용

  • 기반조사 : 임상검사, 설문조사, 신체계측 등
  • 반복조사 (6개월) : 임상검사
  • 반복조사 (12개월) : 임상검사, 설문조사, 신체계측 등

사업수행체계

사업수행체계 - 자세한 설명은 다음의 내용을 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