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조사내용
- Date2019-05-15
- Update2022-06-02
detail content area
조사내용 질 관리
조사 표준화
KoGES 사업에서는 정확하고 표준화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표준 설문 문항과 각종 지침·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조사원 교육과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
매뉴얼 | - 생체시료 수집 프로토콜 개발 및 배포 (2008)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관리매뉴얼 발간 (2009)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조사 지침서(도시기반 코호트 사업) (2010) - CAPI 사용자 매뉴얼(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조사원을 위한 CAPI 사용법) (2010)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조사 지침서 개정(기반 설문조사 및 검진 ![]() ![]() ![]() |
표준화 교육 |
- 코호트 수행기관 현지점검 실시(2007~) - 코호트 표준화 교육 실시 및 자료 발간(자체 집합 교육) (2008~)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표준화 교육 자료 개발 및 교육 실시(신규 조사원 교육, 기존 조사원 보수 교육, 코호트별 교육) (2009~2012)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사이버 교육 과정 추가 운영(2013~2015) |
영양 조사 도구 |
- 식품섭취빈도조사 도구 및 영양소 계산 프로그램 개발 배포 (2007) - 24시간 회상법을 위한 2차원 보조도구 개발·배포 (한장, 양면, 실물음식사진) (2009) - 음식 레시피, 식품 추정량 자료집 2종 배포 (2010) - 3차원 조사도구 개발(계량컵, 계량스푼, 30cm자, 두께자) (2010) - 24시간 회상법 조사를 위한 휴대용 보조도구 개발, 3차원 조사도구(실물 그릇, 접시) (2011)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을 위한 식품 및 음식 실물 사진집 개발 (2012)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식품섭취빈도조사지 활용 지침서 개발(FFQ 활용 지침서 ![]()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개방형 영양조사 활용 지침서 개발(24시간 회상법 활용 지침서 ![]()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을 위한 식품 및 음식 실물 사진집 개정판 개발(2015) |
자료 정제 |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수집데이터 통합‧정제 지침서 개발(품질관리 가이드북 ![]() |
자료 정제
유전체역학과에서는 코호트 사업 연구계획 단계에서부터 코호트 조사 진행과 데이터 가공, 보관 및 활용 등 코호트 구축·운영의 전 과정에 걸쳐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역학데이터 품질 관리 절차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집된 조사 데이터의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표준화된 품질 진단과 정제 체계가 수립되어 있습니다.
사업단계 | 역학데이터 품질 관리 활동 |
---|---|
연구 설계 | - 조사표 개발, 조사 프로토콜 규정, 코딩설계 - 데이터 입력시스템 및 표준매뉴얼 개발 - 역학조사 표준매뉴얼 개발 및 조사원 표준화 교육 실시 |
조사 진행 | - 조사 프로토콜 준수 감독 - 조사결과(검진차트/설문지) 리뷰 및 보완 - 조사결과 입력 - 입력 데이터 모니터링 및 정도관리 - 조사원 재교육 |
조사 완료 | - 입력이 완결된 전산데이터 생성 - 총괄적인 데이터 품질 진단 - 정제데이터 및 코드북 생성 - 연구활용을 위한 데이터 적합도 평가 |
데이터 가공 | - 부가 데이터 생성 - 코호트별 연도별 데이터 통합 - 내·외부 2차 데이터 연계 |
데이터 보관 | - 관련 데이터 총괄 보안관리 - 전산데이터 갱신 관리 - 검진차트/설문지 관리 - 데이터 입출력 관리 |
데이터 활용 | - 역학자료 활용 및 제공 지침 규정 - 역학자료 활용 심의 지원 - 데이터 활용 연구 성과 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