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HPV코호트
- Date2019-12-19
- Update2021-10-21
detail content area
HPV코호트
사업 목적
자궁경부암을 유발하는 사라유두종바이러스(HPV)의 지속감염에 대한 위험인자를 규명하고 국내 유행 HPV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정책수립, 근거를 확보하고자 함
추진 배경 및 현황
사업배경
- HPV의 감염은 상피내종양 및 자궁경부암을 유발하고, 자궁경부암은 전세계적으로 여성암의15%, 우리나라의 경우 21.1% 로 높은 유병율을 보여 공중보건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짐.
- 국내 실정에 맞는 HPV 감염 예방 및 치료 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임.
-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한국에서 유행하는 HPV 유전형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지속감염 및 소실, 상피내종양으로의 이행에 관여하는 위험인자 및 예후인자 규명을 위하여 역학적, 면역학적, 분자생물학적 접근을 위한 전향적 국내 HPV 코호트 구축과 운영의 필요성이 증대됨


사업현황
- [한국 HPV 코호트]는 질병관리청에서 주관하여, 질병관리청 치료임상연구과에서 총괄함
- 질병관리청 치료임상연구과와 코호트 대상자 모집과 세부 조사를 진행하는 기관과 협력함
- 6개 참여기관이 연계하여 구성됨
참여기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계명대 동산의료원, 부산인제백병원, 고대구로병원(2016~), 강남차병원(2017~), 건국대병원(2019~), 단국대학교 제일병원(~2018), 전남대병원(~2015)
지역 | 참여병원(4) |
---|---|
서울(4) | 제일병원, 서울성모병원, 고대구로병원, 강남차병원 |
경북(1) | 계명대병원 |
경남(1) | 부산백병원 |
대상자 모집기준
모집대상
- 만 20세 이상 만 60세 이하 여성을 대상으로 한다.
- HPV type에 관계없이 DNA 검사상 양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다.
- 자궁경부세포검사상 비정형 상피세포 (ASCUS) 이거나 저 등급병변(LSIL)로 판독된 여성
제외기준
- 자궁적출술을 받은 여성
- 코호트에 참여하기 6개월 전 원추절제술을 받은 적이 있는 여성
- 코호트 참가 시 임신한 여성 단, 추적관찰 중 임신이 된 경우는 예외
- 코호트에 참여하기전 자궁경부암을 포함하여 다른 부위에 암으로 진단된 적이 있는 여성
- 정신과 병력이 있고 현재 치료중인 여성
운영체계

- 참여병원에서는 참여자를 모집해 대상자를 내원/진료하고 HPV DNA 검사상 양성인 여성(20~60세)에게 사업참여동의 여부에 대해 동의하면 연구자(의사, 연구간호사)가 사업참여동의서, 인체유래물 등의 기증 동의서를 확보하고, 대상자를 채혈하여 기반(반복) 조사서를 작성(자료입력)을 합니다.(반복 조사서는 6개월마다 시행/채혈은 12개월마다 시행합니다.)
- 코호트 역학연구센터에서는 기반(반복) 조사서를 개발하고, 연구자(의사 연구간호사)에 대한 표준화 교육을 실시하고, 조사 및 데이터 표준화 지침을 개발하고, 자료를 정제합니다.
- 연구자(의사, 연구간호사)가 입력한 자료는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조사서, 자원관리, 통계자료 산출, 연구자 커뮤니티)에 사용되고, 검체를 송부하면 임상검사센터(자원 제작, 자원 임시보관, HPV검사)에 사용됩니다. 입력된 자료와 송부된 검체는 국립보건연구원 치료임상연구과(코호트사업 전반운영 및 조정, 코호트 DB 시스템 운영, 자료 및 검체 관리)에 전송, 수송되며 최종적으로 국립보건연구원 바이오뱅크과에 자원을 기탁하게 됩니다.
자원수집현황 (2018년 기준)





활용성과 (2018년 기준) - HCV 논문 (6편) 및 학술 발표 (19회)

연번 | 논문명 | 저널 | SCI | 분야 |
---|---|---|---|---|
(IF) | ||||
1 | Risk factors for cytological progression in HPV 16 infected women with ASC-US or LSIL: The Korean HPV cohort | Obstet Gynecol Sci(2018) | 학진 | 역학 |
2 | The impact of high-risk HPV genotypes other than HPV 16/18 on the natural course of abnormal cervical cytology A Korean HPV cohort study | Cancer Res Treat | 4.25 | 역학 |
- 2016 | ||||
3 | Methylation of cervical neoplastic cells infected with human papillomavirus 16 |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ic Cancer(2016) | 1.96 | 임상 |
4 | DNA methy lation in HPV in fected cervical cellsis elevated in highgrades quamous in traepi the liallesion sand cancer |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2016) | 1.9 | 임상 |
5 | Natural history of Human papillomavirus | Current Obstetrics and Gynecologic Reports (2014) | 학진 | 역학 |
6 | Establishment of a Korea HPV Cohort Study |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2013) | 1.73 | 역학 |
한국 HPV 코호트 연구 중개연구 진행상황
연번 | 연구 주제 | 수행기관 |
---|---|---|
1 | Socio-behavioral analysis in Women with ASCUS or LSIL cytology in Korea: A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 가톨릭대학교 |
2 | Associ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vaccine and characteristics of HPV infection among Korean women | 국립보건연구원 |
3 | HPV status and risk of progression of cervical precancer in Korean women with ASCUS or LSIL: Data from the Korean HPV cohort study | 계명대학교 |
4 | Relationship between cervical disease progression and specific HPV genotype | 단국대학교 (제일병원) |
5 | HPV type specific risk of cervical carcinogenesis in Korean women; independent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analyses | 단국대학교 (제일병원) |
6 | Risk of cervical dysplasia among the HPV-infected women in Korea: A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 국립암센터 |
7 | 우리나라40대이상HPV감염여성의지속감염및질병진전특성연구 | 국립보건연구원 |
8 |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and the progression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grade 2 or higher among human papillomavirus positive women | 국립암센터 |
정책제안 및 활용
- HPV 코호트 연구결과를 통해서 우리나라 국민에 주로 감염되는 HPV형이 질병진전이 높아 HPV 예방백신 도입이 필요함을 제시. 이에 따라,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HPV 예방 백신 선택 및 조기 도입의 필요성 제시되었음.
* 현재 국가예방접종사업에서 제공하는 HPV 예방백신에 포함되지 않는 유전형의 빈도가 높고 질병진전이 높았으며 9가 백신의 국가예방접종 도입 필요성 확보함. - HPV 백신 도입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