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발진성 질환
증상
○ (증상) 특징적인 증상은 고열과 기침, 콧물, 결막염, 구강 점막에 Koplik
반점에 이은 특징적인 홍반성 구진상 발진
○ (합병증) 설사, 중이염, 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 크룹, 기관지
폐렴 등
○ 잠복기는 10-12일
○ 발진 발생 4일 전(D-4)부터
발진 발생 4일(D+4) 후까지 홍역의 전파가 가능하며, 전구기 발생 시점부터 발진 발생(D day) 후 4일(D+4)까지 가장 전염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역학
○ 호흡기 분비물 등의 비말 또는
공기감염을 통해 전파
○ 잠복기: 7~21일
○ 전염기: 발진 4일 전부터 4일
후까지
치료
○ 보존적 치료
예방
○ 예방접종
[접종대상 및 시기]
금기가 아닌
모든 소아와 감수성이 있는 임신 전 가임기 여성
◦ 1차 접종: 생후 12~15개월
◦ 2차 접종: 만 4~6세
[접종용량 및 방법]
◦ 상완 외측면 0.5 mL 피하주사
진단 신고 기준
▣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홍역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거나 역학적 연관성이
있으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홍역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임상증상
○ 전구기 : 전염력이 강한 시기로, 3일 내지 5일간 지속되며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 특징적인 구강내 병변(Koplik's spot) 등이 나타남
○ 발진기 : 홍반성 구진성 발진이 목 뒤, 귀 아래에서 시작하여 몸통, 팔다리 순서로 퍼지고 손바닥과 발바닥에도
발생하며 서로 융합됨. 발진은 3일 이상 지속되고 발진이
나타난 후 2일 내지 3일간 고열을 보임
○ 회복기 : 발진이 사라지면서 색소 침착을 남김
○ 연령, 백신 접종력, 수동
면역항체 보유여부에 따라 뚜렷한 전구증상 없이 발열과 가벼운 발진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인후·비강·비인두도찰물, 혈액, 소변)에서 Measles virus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
○ 검체(인후·비강·비인두도찰물, 혈액, 소변)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신고시기 : 지체없이 신고
▣ 신고방법 : 감염병 발생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is.cdc.go.kr)의 방법으로 신고
* 사망(검안) 신고는
감염병환자등 사망(검안) 신고서, 병원체검사결과 신고는 병원체 검사결과 신고서를 작성하여 추가 신고
▣ 질병관리청 담당부서 : 감염병관리과
FAQ
Q1. 홍역 아동의 전염기간과 발진의
전염력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홍역은 발진이
나타나기 4일전(D-4)부터 발진일(D day)로부터 4일(D+4) 후까지
전염력이 있습니다. 발진 시기와 전염력이 시기가 연관이 있다는 것이지 발진 자체가 전염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Q2.
MMR 백신과 수두
백신은 모두가 생백신인데 접종간격은 얼마간 두어야 합니까?
○ 생백신간은 동시접종이
가능합니다. 동시접종하지 않은 경우에는 4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접종하여야 하며, 최소 접종간격이 지켜지지 않은 경우 면역형성이 잘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생백신간의 접종간격이
4주 미만인 경우 두 번재 투여된 백신은 접종력으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마지막 생백신 접종일로부터 최소 4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재접종해야 합니다.
Q3. 홍역이 유행할 경우 7개월된 아이에게 MMR 예방접종을 해도 괜찮은가요?
○ 주위에 홍역환자가
있거나 홍역 유행지역에 거주하거나 또는 홍역환자와 접촉할 가능성이 많은 경우(유행지역으로의 여행 등)에는 만 12개월 이전이더라도 만
6개월이 지나면 예방접종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생후 12개월 이전의 MMR 접종은 접종횟수에 포함시키지 않고, 생후 12개월 이후 권장되는 접종일정에 따라 2회 접종을 완료하도록 합니다.
Q4. 홍역을 앓은 아이도 MMR 접종을 해야하나요?
○ 전 세계적으로
홍역 예방접종은 홍역과 유행성이하선염, 풍진을 함께 예방하는 혼합백신(MMR
백신)을 사용하며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홍역을
앓았다고 하더라도 풍진과 유행성이하선염 예방을 위해서는 MMR 백신
2회 접종을 완료하여야 합니다.
Q5.
MMR 예방접종 후
얼마동안 임신을 하지 말아야 하나요?
○ 생백신은 태아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가임기 여성이 MMR 접종을 받았다면 4주간
임신을 피하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