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정책정보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바이러스) Chapare virus
  • 작성일2024-02-01
  • 최종수정일2024-02-01
  • 담당부서생물안전평가과
  • 연락처043-719-8044

(바이러스) Chapare virus 생물안전정보

Chapare virus 병원체 이미지입니다. 출처:CDC/ Cynthia Goldsmith and Maria Morales-Betoulle • 위 험 군 :제 4위험군
• 국내범주 :-
• 특 성 :Arenaviridae 과, Mammarenavirus 속, (-)ssRNA바이러스, 피막 있음


※ 남아메리카에서 자연적으로 출혈열을 일으키는 다른 아레나바이러스, 특히 Sabia virus와 계통발생학적으로 관련 있음

병원성 및 감염증상

  • 사례의 수가 적어 정보가 제한적이나 잠복기 또는 초기 노출 증상과 증상 발생 사이의 시간은 다양하며 아레나바이러스의 경우 4~21일 범위
  •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인 차파레출혈열(Chapare Hemorrhagic Fever)을 유발함.
    • 아르헨티나 출혈열 또는 볼리비아 출혈열과 같은 남미 출혈열의 증상과 유사. 기록된 차파레출혈열 사례의 수가 적어 질병의 징후 및 증상의 진행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이나 1차 및 2차 발병에서 기록된 징후 및 증상은 열, 두통, 관절 및 근육통, 안구 통증, 복통, 구토, 설사, 잇몸 출혈, 상부 소화기 출혈, 발진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
    • 바이러스 감염 후 발생할 수 있는 장기적인 합병증이나 보호 면역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 없으나 생존자는 광범위한 장기 손상을 입을 수 있음
    • 엄마에서 태아로의 수직 감염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다른 아레나바이러스의 경우 자궁 내 감염이 확인된 바 있으며 임신 중 감염은 유산이나 산모 또는 신생아의 사망을 포함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음
    • 현재까지 기록으로는 2차례 발병이 확인됨. 2003년 볼리비아 코차밤바 지역 차파레 강 근처에서 감염자 1명 발생하여 14일 후 쇼크, 출혈 등으로 사망
      (출처: Chapare virus, a newly discovered arenavirus isolated from a fatal hemorrhagic fever case in Bolivia. PLoS Pathog. 2008 Apr 18;4(4):e1000047.)
      2019년 볼리비아 카라나비 지역에서 발생하여 체액을 통해 사람간 전파되었으며 감염자 5명 중 3명 사망(치사율 60%)
      (출처: Clinical features of fatal cases of Chapare virus hemorrhagic fever originating from rural La Paz, Bolivia, 2019: A cluster analysis. Travel Med Infect Dis. Jul-Aug 2020;36:101589.)
      확인된 5명 환자 중 3명은 의료종사자였음

치료 및 백신

  • 치료 :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며 가장 심각한 증상 중 일부를 완화하기 위한 수분 유지, 쇼크 관리, 진정, 통증 완화, 필요한 경우 수혈 등 대증요법으로 치료.
  • 백신 : -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 감염위해요소 
  • 감염 경로
    - 일반 감염경로:설치류, 감염된 설치류 접촉, 오줌 또는 분변을 직접 접촉하거나 에어로졸 형태로 바이러스 흡입을 통해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 사람의 혈액, 소변, 타액 및 정자와 같은 생물학적 체액과의 접촉을 통해 감염 가능함. 감염 168일 후 생존자의 정액에서 바이러스 RNA 확인됨. 의료 환경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절차(예: 기관 삽관, 기관지 내시경 또는 내시경, 흡인, 흉부 압박 등) 수행 등 감염된 환자와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 감염 가능함
    - 실험자 감염경로:배양액 등 감염성 물질 취급 시 발생하는 에어로졸 흡입, 손상된 피부에 노출 및 날카로운 도구에 찔림, 감염동물 실험 시 감염 가능
  • 감염량 : -
  • 숙주:사람. 설치류는 피그미쌀쥐(Oligoryzomys)로 추정. 피그미쌀쥐는 볼리비아 전역과 여러 인접 국가에서 발견됨
  • 실험실 획득감염:-
  • 생물안전밀폐등급
  • BL2 권장:불활화 처리된 검체 대상 유전자검사 등 분자생물학적 검사
  • BL3 권장 : 검체전처리 및 바이러스 불활화, 진단 목적의 임상검체 실험실 검사
  • BL4 권장 : 바이러스 배양, 분리(isolation) 등 병원체를 직접 취급하는 실험 등
  • ABL4 권장: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
  • 개인보호구
  • BL2 : 평상복을 다 덮는 실험복과 장갑 착용. 에어로졸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호흡보호구 착용. 모든 감염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다루는 실험은 생물안전작업대에서 실험 수행
  • BL3 : 전신보호복, 2중 장갑, KF94, N95와 동급 이상의 호흡보호구, 눈보호구 (고글, 얼굴가리개 등) 착용, 의심검체 등 감염성물질을 다루는 모든 실험(특히 에어로졸 발생 가능한 모든 조작)은 생물안전작업대 내에서 수행. 주사바늘 및 뾰족한 실험도구 사용 자제
  • BL4 : 양압복 착용. 2중 장갑 착용. 에어로졸이 발생하는 조작이나 고농도, 혹은 대용량 배양액 조작은 생물안전작업대 내에서 작업
    ※ 개인보호구 탈의 시 피부와 머리카락이 오염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할 것. 특히 오염된 장갑, 가운, 호흡보호구 등이 얼굴에 닿지 않도록 할 것. 탈의 후 즉시 손씻기 철저히 수행
  • 소독 및 불활성화 : 같은 Mammarenavirus속에 해당하는 Lassa virus 참고 0.5% sodium hypochlorite, 3% acetic acid(pH 2.5), 혈청은 60℃에서 1시간 처리, 121℃에서 15분 이상 고압증기멸균, 자외선 조사, 감마선 조사, 2% glutaraldehyde
  • 숙주 외 환경저항성: -
  • 폐기물 처리: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