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C형간염코호트
- Date2019-12-19
- Update2021-10-13
detail content area
C형간염코호트
사업 목적
새로운 치료제의 효과분석 및 HCV에 의한 간질환 질병진전 위험요인을 규명하여 HCV 치료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고 질병완치를 위한 연구
사업 배경
- HCV에 감염되면 15-45%의 환자에서는 급성간염을 앓고 회복되나, 85-55%의 환자에서는 만성간염으로 이행됨. 만성 간염으로 이행되면 20-30년에 걸쳐 5-20%의 환자에서 간경변증으로 진행되며, 간경변증이 생기면 연간 1-5%의 발생률로 간세포암이 발생한다는 서구의 연구결과가 있으나 우리나라 환자에서 임상경과에 대한 전향적 연구는 전무함. C형간염은 주로 성인에서 감염되어 나이가 증가할수록 C형간염 유병률이 증가하고 또 병의 진행도 나이가 많을수록 가속화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급속히 노령화 사회에 들어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통해 노인층에서의 치료전략을 구비할 필요가 커지고 있음
사업 현황
- [한국 HCV 코호트]는 질병관리청에서 주관하여, 질병관리청 치료임상연구과에서 총괄함
- 질병관리청 치료임상연구과와 코호트 대상자 모집과 세부 조사를 진행하는 기관과 협력함
- 10개 참여기관이 연계하여 구성됨
참여기관
- 분당서울대병원, 부천순천향대병원, 인제대부산백병원, 전북대병원, 화순전남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인제대일산백병원, 충남대학교병원, 계명대동산병원
지역 | 참여병원(10) |
---|---|
서울(2) |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
경기/인천(3) | 분당서울대병원, 부천순천향대병원, 인제대일산백병원 |
대전(1) | 충남대학교병원 |
전북(1) | 전북대학교병원 |
전남(1) | 화순전남대병원 |
대구(1) | 계명대동산병원 |
부산(1) | 인제대부산백병원 |
대상자 모집기준
- HCV 항체 양성자이며 이 연구의 조사 내용을 충분히 설명 받고, 자발적으로 동의하는 대한민국 국적을 지닌 만 18세 이상 성인 환자
운영체계

- 참여병원에서는 참여자를 모집해 대상자를 내원/진료하고 HCV 항체 양성자에게 사업참여동의 여부에 대해 동의하면 연구자(의사, 연구간호사)가 사업참여동의서, 인체유래물 등의 기증 동의서를 확보하고, 대상자를 채혈하여 기반(반복) 조사서를 작성(자료입력)을 합니다.(반복 조사서/채혈은 6개월마다 시행합니다.)
- 코호트 역학연구센터에서는 기반(반복) 조사서를 개발하고, 연구자(의사 연구간호사)에 대한 표준화 교육을 실시하고, 조사 및 데이터 표준화 지침을 개발하고, 자료를 정제합니다.
- 연구자(의사, 연구간호사)가 입력한 자료는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조사서, 자원관리, 통계자료 산출, 연구자 커뮤니티)에 사용되고, 검체를 송부하면 임상검사센터(자원 제작, 자원 임시보관, 유전자검사, 정량검사)에 사용됩니다. 입력된 자료와 송부된 검체는 국립보건연구원 치료임상연구과(코호트사업 전반운영 및 조정, 코호트 DB 시스템 운영, 자료 및 검체 관리)에 전송, 수송되며 최종적으로 국립보건연구원 바이오뱅크과에 자원을 기탁하게 됩니다.
자원수집현황 (2018년 기준)


활용성과

연번 | 논문명 | 저널 | SCI | 분야 |
---|---|---|---|---|
(IF) | ||||
1 |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infection Using SF-36 and EQ-5D | Gut and Liver(2018) | 2.85 | 임상 |
2 | Prevalence and Incidence of Depression during Interferon-based Antiviral Therapy in Chronic Hepatitis C Pati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 Gut and Liver (2017) | 2.66 | 역학 |
3 | Healthcare Costs for Chronic Hepatitis C in South Korea during 2009-2013: An Analysi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 Gut and Liver (2017) | 2.66 | 인문사회 |
4 | Current Status of Hepatitis C Virus Infection and Countermeasures in South Korea | epiH (2017) | 임상 | |
5 | Occult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s not associated with disease progression of chronic hepatitis C Virus infection |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7) | 2.79 | 임상 |
6 | The Clinical outcomes of Chronic hepatitis C in South Korea | Medicine (2016) | 2.13 | 임상 |
7 | Treatment rate and factors related to interferon-based treatment initiation for chronic hepatitis C in South Korea | J Med Virol (2015) | 2.35 | 임상 |
8 | Prospective cohort study on the outcomes of hepatitis C virus-related cirrhosis in South Korea | J Gastroenterol Hepatol (2015) | 2.67 | 역학 |
9 | Geographic difference in the epidemiological features of HCV infection in Korea | Clin Mol Hepatol (2014) | 역학 | |
10 | Role of interleukin-28B genetic polymorphism in Korean patients with hepatitis C virus infection | Gut Liver (2014) | 1.31 | 임상 |
11 | Prevalence and associ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epatitis B, C, and HIV infections among injecting drug users in Korea | J Med Virol (2013) | 2.37 | 역학 |
12 |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atients with hepatitis C virus genotype 6 | Clinl & Mol Hepat (2013) | 임상역학 | |
13 |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features of hepatitis C virus infection in South Korea: A prospective, multicenter cohort study | J Med Virol (2013) | 2.37 | 임상역학 |
14 | Behavioral and healthcare-associated risk factors for chronic hapatitis C virus infection in Korea | J Korean Med Sci (2012) | 1.25 | 역학 |
15 |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cannabis and methamphetamine abusers | Korean J Biol Psychiatry (2012) | 임상 | |
16 | Acute hepatitis C in Korea: different modes of infection, high rate of spontaneous recovery, and low rate of seroconversion | J Med Virol (2011) | 2.37 | 역학 |
17 | The effect of antiviral therapy on serum cholesterol level in chronic hepatitis C | Gut Liver (2011) | 1.31 | 임상 |
18 | Hepatic iron, serum ferritin, HFE mutation, and hepatic fibrosis in Chronic hepatitis C | Intervirology (2009) | 1.89 | 임상 |
한국 HCV 코호트 연구 중개연구 진행상황
연번 | 연구 주제 | 수행기관 |
---|---|---|
1 | 한국 HCV 코호트 Profile 분석 | 부천순천향대 |
2 | C형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세포암의 임상적 특징과 경과에 대한 다기관 전향적 코호트연구 | 분당서울대 |
3 | 국내 B/C형 간염바이러스의 유전적 다형성과 역학적 상관성 분석연구 | 국립보건연구원 |
정책제안 및 활용
- 코호트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국가검진체계를 활용한 국내 고유병 인구(40세-69세)를 대상으로 일생에 한번 선별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비용효과가 높음을 밝혀 C형간염 퇴치 정책의 근거를 제시
- 코호트 대상자 연구를 통해 ‘대상자 절반이 진단 시 이상이 없고, 의료진의 C형간염 인식도가낮다’라는 연구 결과를 통해 전수조사를 건의하여 현재 전수조사로 정책이 전환됨. 국가적 HCV 감염의 인식을 높이고, 국민들이 HCV 선별 검사의 혜택을 받도록 근거 제공
- 코호트 다수의 연구결과가 대한 간학회 발간「C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에 활용되어 국민들이 C형간염 진료 시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함(‘18)
- C형간염 집단 발생 조사(2015~2016) 및 국내‘C형간염 진료지침’에 활용(`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