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농촌기반코호트
- Date2019-05-15
- Update2021-11-18
detail content area
농촌기반코호트
사업목적
- 한국인 일반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코호트를 구축하고, 건강검진 및 역학조사를 통해 역학‧임상자료와 생물자원 수집
- 도시 중심의 생활환경과는 다른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코호트 구축
- 심혈관질환 및 고혈압, 당뇨, 대사증후군 등 한국에서 자주 발생하는 만성질환을 목표질환으로 선정하여 유전‧환경 요인 규명
사업추진현황
- 전국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40-70세 주민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코호트 기반 구축 시작 (총 21,700여 명)
- 2007년 1차 추적, 2010년 2차 추적조사를 시작
- 양평, 남원, 고령, 원주, 평창, 강화의 6개 지역에서 연 5천명 규모 추적 조사 수행 중
- 대상자 모집을 위해 지역 사회 기관 등과의 네트워크 구축
사업수행체계

농촌기반코호트 사업수행체계
- 전문가 자문, 분야별 자문
- 질병관리본부 유전체역학과는 연구기관에 정보분양을 하고, 연구기관과 질병관리본부 유전체역학과는 서로 협력연구를 한다.
- 질병관리본부 유전체역학과에서 용역사업 수행기관에 용역발주를 하면, 용역사업 수행기관에서는 조사대상자 모집, 설문조사, 생체시료 수집, 검진 실시, 데이터 입력 하여 질병관리본부 유전체역학과로 용역산출물을 제출함
- 질병관리본부 유전체역학과는 사업 정도 관리(사업 계획, 사업 지침 개발 및 시행, 사업 진행 상황 관리 및 운영), 품질 관리(조사원 표준화 교육, 생체 시료 표준화 프로토콜 개발, 코호트 현지점검, 전문가 회의 운영), 데이터 관리(데이터 품질관리 지침 개발 및 시행, 코호트 역학정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 관리, 개인정보보호 지침 개발 및 시행, 설문지 및 입력 데이터 검수, 기 수집 데이터 오류 점검 및 클리닝)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