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에이즈(HIV/AIDS)코호트
- Date2019-05-15
- Update2021-11-18
detail content area
에이즈(HIV/AIDS) 코호트
사업목적
에이즈 코호트 사업은 HIV 감염자에서 AIDS 발병과 사망까지의 자연사 파악과 질병 진전에 미치는 요인 규명으로 감염인의 생존기간 연장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함
- 코호트 구축을 위한 조사를 통한 자료 확보와 검체 확보 연구
- 구축된 코호트 자료를 활용한 결과물 도출과 관련 연구
추진 배경 및 현황
사업 배경
- 2005년 생명윤리법 실행으로 HIV/AIDS 연구에서 환자의 인권을 강화하면서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요구
- 장기적 코호트사업을 통하여 각 정부기관, 병원, 연구소, 학계 등 분야의 전문가들이 연계하여 체계적인 실험디자인, 연구 설계를 할 수 있고, 현재 HIV/AIDS 감염인 관리 및 예방정책 수립 등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뿐 아니라 경쟁력 있는 연구 결과 산출 가능
사업 현황
- [한국 HIV/AIDS 코호트]는 질병관리청에서 주관하여, 질병관리청 치료임상연구과에서 총괄함
- 질병관리청 치료임상연구과와 코호트 대상자 모집과 세부 조사를 진행하는 기관과 협력함
- 세 거점 센터와 협력하고 있는 16개 참여기관이 연계하여 구성됨
- 거점 센터: 가톨릭대학교, 경북대학교, 연세대학교 센터의 세 센터로 구성됨
- 참여 기관(병원): 13차년도에는 가톨릭 대학교 센터 협력 연구기관 6곳, 경북대학교 센터 협력 연구기관 6곳, 연세대학교 센터 협력기관 4곳으로 총 16개로 구성됨
주요업무
참여기관의 주요 업무
- 참여 기관은 HIV 감염인이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병원으로서, [한국 HIV/AIDS 코호트]의 사업참여동의를 설명하여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대상자를 모집함
- 참여 기관은 사업참여를 밝힌 HIV 감염인에 대해 1) 사업참여 동의서, 2) 기반(반복) 조사서, 3) 생체 시료 수집을 수행하고, 이를 관리함
- 코호트 등록을 위한 코호트 관리번호는 총괄기관과 협의하여 등록 시 발부함
- 조사가 완료된 기반(반복) 조사지는 코호트 DB에 참여기관에서 입력함
- 수집된 생체시료는 임상검사센터로 송부하며, 주요 검사는 각 참여 기관에서 수행함
- 임상검사센터에서 수집된 생체시료는 질병관리청으로 송부함
거점센터의 주요 업무
- 거점 센터는 각 센터가 협력하고 있는 참여 기관의 조사서(원본)를 취합하여, 총괄기관에 발송함
- 참여 기관에서 수행되는 조사 질관리와 센터 단위의 조사 대상자 관리를 수행함
총괄기관의 주요 업무
- 참여 기관의 코호트 대상자 모집 시 코호트 관리번호 발부, 협력
- 전체 대상자의 기반(반복) 조사의 조사지 취합, 자료 관리
- 입력 자료에 대한 환류, 자료 제공
- 참여 기관이 송부한 생체시료의 관리
- 전체 조사의 질관리 및 조사원 교육
조사자료의 흐름도

사업수행체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