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main contents Go to main menus

연구자원 인프라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에이즈(HIV/AIDS) 코호트

사업목적

에이즈 코호트 사업은 HIV 감염자에서 AIDS 발병과 사망까지의 자연사 파악과 질병 진전에 미치는 요인 규명으로 감염인의 생존기간 연장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함

  • 코호트 구축을 위한 조사를 통한 자료 확보와 검체 확보 연구
  • 구축된 코호트 자료를 활용한 결과물 도출과 관련 연구

추진 배경 및 현황

사업 배경

  • 2005년 생명윤리법 실행으로 HIV/AIDS 연구에서 환자의 인권을 강화하면서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요구
  • 장기적 코호트사업을 통하여 각 정부기관, 병원, 연구소, 학계 등 분야의 전문가들이 연계하여 체계적인 실험디자인, 연구 설계를 할 수 있고, 현재 HIV/AIDS 감염인 관리 및 예방정책 수립 등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뿐 아니라 경쟁력 있는 연구 결과 산출 가능

사업 현황

  • [한국 HIV/AIDS 코호트]는 질병관리청에서 주관하여, 질병관리청 치료임상연구과에서 총괄함
  • 질병관리청 치료임상연구과와 코호트 대상자 모집과 세부 조사를 진행하는 기관과 협력함
  • 세 거점 센터와 협력하고 있는 16개 참여기관이 연계하여 구성됨
    • 거점 센터: 가톨릭대학교, 경북대학교, 연세대학교 센터의 세 센터로 구성됨
    • 참여 기관(병원): 13차년도에는 가톨릭 대학교 센터 협력 연구기관 6곳, 경북대학교 센터 협력 연구기관 6곳, 연세대학교 센터 협력기관 4곳으로 총 16개로 구성됨

주요업무

참여기관의 주요 업무

  • 참여 기관은 HIV 감염인이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병원으로서, [한국 HIV/AIDS 코호트]의 사업참여동의를 설명하여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대상자를 모집함
  • 참여 기관은 사업참여를 밝힌 HIV 감염인에 대해 1) 사업참여 동의서, 2) 기반(반복) 조사서, 3) 생체 시료 수집을 수행하고, 이를 관리함
  • 코호트 등록을 위한 코호트 관리번호는 총괄기관과 협의하여 등록 시 발부함
  • 조사가 완료된 기반(반복) 조사지는 코호트 DB에 참여기관에서 입력함
  • 수집된 생체시료는 임상검사센터로 송부하며, 주요 검사는 각 참여 기관에서 수행함
  • 임상검사센터에서 수집된 생체시료는 질병관리청으로 송부함

거점센터의 주요 업무

  • 거점 센터는 각 센터가 협력하고 있는 참여 기관의 조사서(원본)를 취합하여, 총괄기관에 발송함
  • 참여 기관에서 수행되는 조사 질관리와 센터 단위의 조사 대상자 관리를 수행함

총괄기관의 주요 업무

  • 참여 기관의 코호트 대상자 모집 시 코호트 관리번호 발부, 협력
  • 전체 대상자의 기반(반복) 조사의 조사지 취합, 자료 관리
  • 입력 자료에 대한 환류, 자료 제공
  • 참여 기관이 송부한 생체시료의 관리
  • 전체 조사의 질관리 및 조사원 교육

조사자료의 흐름도

거점 센터에서는 기반조사시 설문 신체검진, 생체시료검사, 임상검사를 수행하고, 기반조사자, 검사결과지를 입력프로그램을 통해 질병관리청 DB에 입력한다. 반복조사시에 설문, 신체검진, 생체시료검사, 임상검사를 수행하고 기준선 결정후 진행될 업무범위를 정한다. 대상자 관리과정에서 완료조사서로부터 반복조사서를 작성하여 입력프로그램에 입력하고 질병관리청 DB에 입력한다. 질병관리청 CORE와 자문위원회에서 option 으로 새로운 가설을 수립한다.

사업수행체계

NIH 코호트의 환자군 코호트 HIV/AIDS 코호트에 대한 조사자료 흐름도 그림입니다. 참여기관 (병원)에서는 내원 혹은 진료를 받으러온 대상자들에게서 HIV 감염으로 항레트로바이러스제 미 치료자 및 치료자인지, JIV 감염 의심자인지 확인하여 사업참여 동의를 받는다. 담당자인 연구간호사는 사업참여동의서를 확보하고, 기반 혹은 반복 조사서를 작성한다. 또한, 대상자의 혈액을 채혈한다. 반복조사서와 채혈은 매 6개월마다 시행한다. 조사서는 코호트 연구책임센터에 송부하여 기반 및 반복조사서의 취합이 이루어지고 취합된 자료는 질병관리청 에이즈종양바이러스과로 송부된다. 채혈한 검체는 임상검사센터로 보내져서 시료제작 및 시료 임시보관이 이루어지고 보관된 시료는 질병관리청 에이즈종양바이러스과에 송부된다. 담당 연구간호사는 사업참여 대상의 코호트 관리번호를 질병관리청 에이즈종양바이러스과에 확인한다. 에이즈종양바이러스과에서는 코호트 사업 전반 운영 및 조정을 하고, 코호트 DB 운영 (자료입력 등)을 하고, 자료 및 검체관리를 수행한다. 시료의 경우 질병관리청 생물자원은행과에 위탁하여 보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