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main contents Go to main menus

연구자원 인프라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알레르기비염코호트

사업목적

  • 알레르기비염의 치료에 따른 신체적 및 정신적 합병증의 변화 규명
  • 알레르기비염의 정확한 유병률, 관리현황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근거 중심의 정책수립 기반 마련

사업추진현황

  • 208년 11월부터 만4-12세의 비염환자(알레르기비염, 단순비염)를 모집하고 6개월 간격으로 추적관찰
  • 14개 의료기관의 다기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모집대상자 1,500명 중 1,500여명 등록
  • 알레르기비염 환자의 신체적(기관지천식, 중이염, 부비동염, 수면호흡장애), 정신적(인지능력, 학습능력) 합병증의 발생현황 확인 및 관련인자 분석 추진
  • 치료방식(약물치료, 면역치료)에 따른 결과비교 및 변화양상 분석 추진
  • Plasma, gDNA 등 생물자원 수집

사업수행체계

알레르기비염 합병증의 관련인자 및 치료에 따른 변화양상 추적관찰 연구는 질병관리본부(만성병조사과)에서 총괄하며, 연구 수행기관 (연구총괄)에 과업내용전달, 연구진행사항 관리, 연구수행 지원등을 한다. 연구소행기관 (연구총괄)에서 질병관리본부 만성병조사과에 (매월, 중간, 최종 등) 연구결과보고를 진행한다. 연구소행기관 (연구총괄)은 참여기관들에 연구 프로토콜 및 대상군 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참여기관들은 다기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환자군 모집, 추적 및 관찰을 수행한다. 또한 알레르기 질환 장기연구과제 자문위원을 비롯한 국내외 전문가와의 회의를 통해 진행사항에 대해 전문가 의견 수렴 및 연구내용에 대한 질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