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main contents Go to main menus

연구자원 인프라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치매뇌은행 소개

사업배경

치매 연구를 위한 생전 임상정보(뇌영상 등)와 인체자원을 충분히 가진 치매환자 뇌 조직 수집 및 활용체계 구축이 시급

목표 및 기대효과

목표 : 치매 뇌조직 확보 및 뇌기증 희망자 등록을 통해 치매연구 인프라 구축을 통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치매연구 활성화 기반마련

  • 치매 뇌조직 및 임상자원(뇌영상, 뇌척수액, 혈액 등) 수집 및 관리
  • 치매 연구 활성화를 위한 뇌자원 분양
    - 「시체해부 및 보존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 시행(’21.4월)에 따른 시체제공기관* 표준운영지침 마련 중
    * 시체제공기관: 시체를 해부하여 그 일부를 제공하는 의과대학 및 종합병원

기대효과

  • 치매 뇌조직 확보·활용 체계 구축을 통한 국가 치매 연구 활성화에 기여
  • 뇌 부검을 통한 치매확진으로 정확한 한국인 치매유형 통계 확보에 기여
  • 치매 진단진료지침 개선, 조기진단 및 치료제 개발 등의 과학적 근거마련에 기여

연혁

  • 2010. 01 : 뇌조직은행 현황조사
  • 2014. 03 : 치매조기진단 전략토론회 개최
  • 2015. 01 : 치매연구 인프라 구축방안 기획
  • 2016. 08 : 학술용역기반 치매뇌은행 기반구축 사업 착수
  • 2017. 07 : 치매뇌은행 2개소 운영
  • 2018. 09 : 치매뇌은행 3개소 운영
  • 2021. 04 : 치매뇌은행 4개소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