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사업소개
- Date2019-12-19
- Update2021-10-12
detail content area
사업소개
사업목적
- 만성감염질환(HIV/AIDS, BㆍC형간염, 사람유두종바이러스)코호트 사업은 국민보건 향상과 국 민복지ㆍ안전에 기여하고자 만성감염ㆍ질병예방 정책수립 및 평가, 중증 만성감염질환 치료지 침 및 교육자료 개발 등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마련을 위한 만성감염질환 연구 인프라 구축ㆍ운영
사업 배경 및 필요성
- HIV, BㆍC형 간염바이러스,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은 중증 만성감염질환인 에이즈, 간암, 자궁경부암을 유발시킴.
중증 만성감염질환은 경제ㆍ사회적 질병부담이 매우 크고, 바이러스 특성, 숙주요인(인종, 생활습관 등), 환경요인 등에 따라 질병진전이 매우 다름.
그러므로 감염예방, 질병진전 예방, 관리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과학적 근거생산이 필요하여 만성감염질환코호트를 구축ㆍ운영하고 있음.
만성감염(chronic infection) 이란 ?
- 감염 후 대부분 감염사실을 인지하지 못하여 치료시작이 지연될 뿐 아니라 단기간 내 완치가 어렵고 타인에게 감염시킬 수 있음.
- 국가 경제/사회적 손실 : HIV 감염으로 손실 3조(1인당 생애비용 4억, 출처: 에이즈로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 2004) 간암으로 인한 손실 5.5조(출처: 한국인 간질환 백서, 2013), 자궁경부암으로 인한 출산률 저하, 만성감염환자의 40% 이상이 생산 연령층(20∼40대)으로 생산성 손실 초래
사업운영체계
- 각 코호트는 다기관/개방형 코호트이며, 코호트운영위원회를 통하여 운영되고 있음.
- 각 코호트는 표준화된 조사서·조사방법·생물자원 수집방법에 따라 자원(정보·생물자원)을 수집하고 모든 정보는 질병보건통합시스템에 보관하고, 생물자원(검체)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에 보관함.
- 수집된 코호트 자료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정기적으로 코호트 연구원 표준화 교육과 지속적인 자료정제를 수행하고 있음.
- 참여연구자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정기적인 교육, 회의, 워크숍,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있으며, 만성감염질환코호트 DB 시스템내의 코호트커뮤니티를 통하여 연구자간의 원활한 소통을 하고 있음.

- 코호트 등록자(HIV, HBV, HCV, HPV, TB 감염자)
- 코호트 설문조사(6~12개월 마다)
- 검진
- 생물자원 수집(혈장, PBMC)
- 역학 임상정보 등 데이터베이스화(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 생물자원 저장(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 코호트 정보 질 관리
- 역학, 임상, 자료정보 및 생물자원 분양
- 중개 연구
- 만성감염질환 예방, 삶의 질 향상 및 수명연장, 의료비 절감
운영실적(2018년 기준)
구분 | HIV/AIDS 코호트 | HCV 코호트 | HPV 코호트 | HBV 코호트 |
---|---|---|---|---|
시작연도 | 2006년 | 2006년 | 2009년 | 2015년 |
참여기관 | 16개 의료기관 (감염내과) |
7개 의료기관 (소화기내과) |
6개 의료기관 (산부인과) |
5개 의료기관 (소화기내과) |
대상 | 18세 이상 HIV 감염 내국인 |
18세 이상 HCV 항체양성 내국인 |
20~60세 HPV 감염 내국인 여성 |
19세 이상 항바이러스 치료 환자 |
조사주기 | 6개월 | 6개월 | 6개월 | 3~6개월 |
최종질환 조사항목 |
기저질환, 대사합병증 AIDS, 사망 |
지속감염, 간경화, 간암, 사망 |
CIN II/III** | 간암, 간경화 |
유지자수 | 933명 | 2,241명 | 559명 | 1,043명 |
조사건수 (누적) |
15,009건 | 22,594건 | 6,672건 | 3,319건 |
생물자원(검체) (수집건수) |
혈장, PBMC* 11,177건 |
혈장, PBMC 3,701건 |
혈장, 혈청, Buffy coat, Cervix cell DNA 2,964건 |
혈장, PBMC 1,844건 |
코호트 연구 추진전략

목표
만성감염질환 퇴치 정책수립을 위한 의과학 지식정보 확보
추진전략
- 미래 만성감염연구를 위한 고품질의 역학·임상정보 및 생물자원 지속적 확보
- 표준화 된 코호트 운영·분양규정을 통한 자원공개
- 코호트별 질병관리 정책방향과 부합하는 연구과제 지속적 발굴
- 만성감염질환 연구자 인프라 확대 및 네트워크 강화
- 국내 코호트 간 협업 및 국제 코호트와의 공동 연구
중점과제
- HIV 확산 예방과 완치를 위한 HIV/AIDS 코호트연구
- HCV 치료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하는 HCV 코호트연구
- HPV 감염 및 자궁 경부암 예방을 위한 HPV 코호트연구
- B형 간염 환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HBV 코호트연구
- 결핵 치료기간 단축 및 잠복 결핵 활성화 억제를 위한 결핵 코호트연구
코호트 중개연구 중점분야

코호트자원을 정부 -> 산업계 -> 대학, 연구소가 공유하며 연구한다.
정부
임상의학(임상적 특성연구 : · 치료효과 연구, · 대상합병증 연구, · 기회감염 연구, · 치료/예방지침개발)
산업계
병원체 생물학(생물자원 활용연구 : · 감염기전 관련 특성연구, · 치료에 따른 병원체, · 숙주 요인 연구, · 질병마커 개발, · 내성연구)
대학,연구소
인구 사회학(사회학적 특성연구 : · 삶의 질 연구(우울, 불안 등), · 신경학적 연구, · 생활습관 연구)], [역학 통계학(연구 설계와 분석 : · 위험요인 설정, · 설계/연구방법개발, · 사망/생존/발생률, · 예후/위험요인분석)을 맡아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