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국립보건연구원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통합검색 sitemap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 계획

추진 목표
  • 판데믹 위기시 100/200일 초고속 백신·치료제 개발체계 구축
  • 대비·대응·보완의 3단계 백신·치료제 개발전략
  • SFTS, 3세대두창 등 미해결/공공안보 감염병 백신·치료제 선도개발
백신·치료제 신속개발 및 지원체계 강화
백신·치료제 개발 전략
* 화면을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백신·치료제 개발 전략 - 시기(팬데믹 발생 전,발생 ~ 개발 전, 개발 후), 구분, 전략의 단계로 진행
시기
팬데믹 발생 전
팬데믹 발생시점
팬데믹
(팬데믹 발생 ~ 개발 전)
백신/치료제 개발
팬데믹
( 백신/치료제 개발 후)
구분 대비 대응 보완
전략
  • - 우선순위
  • - 프로토타입 라이브러리
  • - 신속항원 선정
  • - 효능평가 및 허가지원
  • - 면역원성
  • - 효능평가
1

대비 단계: 팬데믹 발생 전 신속개발 체계 구축

(우선순위) 국내·국외(WHO, CEPI) 등에서 우선순위로 선정한 출혈열바이러스, 호흡기바이러스 등을 중심으로 5개 대상 선정

- 감염병 위기단계, 역학적 위험 수준 분석,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한 선정

* (국내외 우선순위) 코로나(사스, 메르스 등), 인플루엔자, 니파, 라싸 등

(프로토타입 라이브러리) 우선순위 병원체 또는 유사성이 높은 시제품 사전 확보

- ‘첨단백신공정기술센터*’ 활용하여 항원 발굴하고 팬데믹 대응 백신 프로토타입(시제품) 비축하는 백신라이브러리 구축·운영

* 백신첨단공정기반 구축 및 운영사업 추진(470억, ‘24-27), ‘기본계획 및 설계 10억(’23년)

- 약물재창출 등 기승인물질(미국FDA) 항바이러스제 선별, 고효율 광범위 항체치료제 개발

(플랫폼 확보) mRNA 핵심요소기술 및 신기술 국산화

- 다양한 백신 플랫폼(mRNA, 재조합 등) 및 백신 신기술 국산화

- 항바이러스제 대량신속 탐색 기술 및 치료제 발굴 플랫폼 확립

(미해결 감염병) SFTS, 3세대 두창 등 미해결/공공안보 감염병 백신·치료제 선도 개발

- 국내외 위험도(사망율, 유병율)가 높은 SFTS(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등의 백신·치료제 개발

- 3세대 두창 등 공공안보 관련 비상업적 백신의 국가 중심 연구개발

2

대응 단계: 팬데믹 발생시 신속 개발 (복지부, 과기부, 산업부, 식약처)

(신속개발) 프로토타입 확보 수준에 따라 100/200일 이내 신속 개발 추진

- 다부처·기관 협업체계, 시제품 旣 확보, 임상3상 및 규제 검토 기간 단축 등 팬데믹 전 대비체계 마련

➊(100일, Track 1) 타겟 병원체에 대한 임상1/2상정도의 안전성과 용량이 확인된 시제품 기 확보 시

➋(200일, Track 2) 타겟 병원체와 유사성이 높은 시제품 기 확보 시(예, SARS-CoV-3)

* 소요기간은 규제검토 전단계까지 기간이며, 임상시험 소요기간은 참여자 모집 등에 따라 변동 가능

< 팬데믹 대응 신속 백신/치료제 개발 전략(안) >

* 화면을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팬데믹 대응 신속 백신/치료제 개발 전략(안) - 구분, 비임상 시험, 임상1/2상, 임상3상, 식약처, 검토, 개발 일정(일), 적합플랫폼의 단계로 진행
구분
비임상 시험
1단계: 초기 임상
임상1/2상
2단계: 임상3상
임상3상
3단계: 임상완료
식약처
검토
개발 일정
(일)
적합플랫폼
1 30일 생략
* 시제품 기 확보시
70일 식약처
검토
100일 (백신) mRNA
(치료제)항바이러스제 등
2 40일 60일 100일 200일

(임상·비임상) 다기관이 협력하여 (비)임상시험 등 총력 지원하여 신속개발

- (복지부)임상, (과기부)비임상, (산업부)생산, (식약처)허가지원 등 관련 업무 협력

* 화면을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업무 협력 - 기관명 사업명 등 항목 정보를 제공
기관명 사업명
질병관리청 공공백신개발지원사업(‘22~26), 신기술개반백신플랫폼 개발지원사업(’22~25), 신변종감염병대응 mRNA백신임상지원(‘22~27), 국가위기초래 바이러스 감염병 극복 기술개발사업(’23~24)
보건복지부 감염병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20~29), 신속범용백신기술개발사업(’22~26), 미래성장고부가가치 백신개발사업(‘22~26), 백신기반기술개발사업(‘22~26), RNA바이러스감염병 대비 항바이러스치료제개발(’23~29)
과기부 신약개발지원사업(’22~24)
산업부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상용화지원(‘22~25),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구축(’17~21), 미생물실증지원센터(‘17~21)

- 해외연구기관, 국제기구 등과 협력하여 국제 임상연구 및 면역학적 감시 체계* 가동하여 임상 기간 단축 추진

* 한국형 PREMISE(Pandemic REsponse REpository through Microbial and Immunological Surveillance and Epidemiology): 미국 NIH/NIAID의 면역 감시 체계

(감염병임상연구센터) 임상시험 네트워크 운영, 프로토콜 설계, 효능평가, 표준물질 등을 지원하여 국가차원의 신속 임상연구 수행

* 국립감염병연구소 서울분소(감염병임상연구센터/ 1센터 4과 42명) 신설 및 임상연구 데이터센터 구축(500억원/6년 예상)

(긴급대응매뉴얼) 산‧학‧연‧관 임무중심 전주기 협력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임상~허가까지 신속 개발 체계 가동

- 감염병 위기경보 단계별로 현장 중심의 긴급대응 프로토콜* 적용

* (과기부)기초·기전 분야 위기대응 매뉴얼(바이러스 모의훈련 등) 및 복지부초고속(100일) 개발 전략 등과 연계 및 확대하여 감염병연구기관협의체 중심의 R&D 위기대응 매뉴얼 마련 및 가동

3

보완 단계: 면역원성 및 치료임상 효능평가에 따른 적용 결정

(면역원성 평가) 백신 접종자 코호트를 구축하여 면역도에 대한 장기 추적 조사 실시하고 예방접종 정책 등에 반영

(치료효능 평가) 치료제 적용에 따른 임상효능평가, 변이 발생시 유효성 분석 등 사후평가

(효능평가) 약효평가거점실험실, 임상시험검체분석기관(GCLP) 운영 및 활용 체계 강화

(시설·자원) 생물안전3/4등급(시설) 및 국가병원체자원은행(자원) 활성화 방안 마련